책소개
"이 책은 『열녀전(列女傳)』에 대한 여성학적 연구서이다. 『열녀전』은 기원 1세기경 중국 한대(漢代)에 성립된 중국 최초의 여성 전기집이자 여성 교육서이다. 이 책은 2천여 년 전에 이미 고대의 여성 유형을 집약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동아시아의 여성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대는 중국의 정체성이 확립됨과 더불어 유학이 전면에 부상하는 시기이고 바로 이 무렵 가부장적인 여성관이 정립된다. 상고시대의 활달하고 개성적인 여성 대신 규수(閨秀)요 현모(賢母)로서의 유교적 여성 이미지가 각인되는 것이다. 따라서 『열녀전』의 여성 유형을 고찰하는 일은 이후 전개될 동아시아 여성관의 모태를 살피는 데에 중요한
저자소개
"정재서: 서울대학교 중문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중문과 석사·박사. 하버드-옌칭연구소·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객원교수.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전공 교수.
저서:『산해경역주』(1985)·『불사의 신화와 사상』(1994 한국출판문화상 저작상 수상)·『동양적인 것의 슬픔』(1996)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2000)·『정재수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 1, 2』(2004)·『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2006)·『사라진 신들과의 교신을 위하여』(2007 비교문학상·우호학술상 수상)
박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국립대만사범대학 국문연구소 석사·박사. 현재 한국사이버대학교 중국학부 교수
논문:「애남영의 시문이론」(석사학위 논문)·「청대 중기 경학가의 문론」(박사학위 논문)·「장실재의 문리론」·「전대흔의 경사문 일체설에 대한 재조명」·「초순의 팔고문설」
최진아: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중문과 박사.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전공 강의전담 교수.
저서:『환상·욕망·이데올로기』(2008)
논문:「배형 전기 시론 및 역주」·「요재지이와 열미초당필기의 비교연구」·「전기 남성의 욕망: 애정류전기를 중심으로」
송정화: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박사.
저서:『목천자전역주』(1997)·『중국 여신 신화 연구』(2007)
논문:「목천자전 및 역주」(석사학위 논문)·「중국 신화에 나타난 여신 연구」(박사학위 논문)·「목천자전의 신화·종교적 의미」·「지괴에서의 도교 수용」·「중국 여성신화 소고」·「영상 속의 여성과 자연의 이미지: 중국 신화·도교로 읽는 와호장룡」·「산해경의 여성 이미지 분석」
김영미: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중국어과 석사·박사. 중국 희곡예술원 방문학자.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강사.
논문:「이어 희곡이론의 연극학적 분석」(석사학위 논문)·「경극 초기형태 연구」(박사학위 논문)·「희롱 속에 감추어진 진실: 희처고사 탐색」
김종미: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중문과 석사·박사. 북경대학교 동방어언학부 객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연구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저서:『하늘과 인간 그리고 왕충의 문학사상』(1995).
논문:「허공은 정말 흰색일까? : 하이데거로 읽는 중국 미학」·「노자와 페미니즘: 곡신과 코라를 통해 본 탈중심의 여성 원리·「양강과 음유의 변주: 규정을 노래하는 남자와 제가를 담당하는 여자」·「주역의 상반상성론과 성별 인식」
김지선: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문과 박사.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전공 강사.
저서:『신이경역주』(1997)
논문:「신이경 시론 및 역주」(석사학위 논문)·「위진남북조 지괴의 서사성 연구」(박사학위 논문)
조숙자: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중문과 석사. 동 대학원 박사 과정 수료.
논문:「시경·국풍『에 나타난 여성상 소고」·「마치원 연구」
송진영: 이화여자대학교 중문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북경대학교 중문과 박사. 하버드대학교 박사후(Post doc.) 연구원. 현재 수원대학교 중국어학과 교수.
논문:「명청대 세정소설의 등장과 문인독립 창작」·「세정소설의 풍자적 서술 연구: 금병매를 중심으로」·「여신에서 악녀까지: 중국 고전 속의 여성 이미지」·「명청대 백화소설에 나타난 인과응보적 서사구조 연구: 세정소설을 중심으로」"
목차
"머리말
제2판을 내며
제1장 『열녀전』의 여성 유형학 / 정재서
1. 한대의 유학과 여성
2.『열녀전』의 성립 및 그 내용
제2장 『열녀전』의 구성과 의미 / 박영희
1. 실재에서 기록으로
2. 역사와 허구 사이:「전」
3. 여성 전기화의 양상
4. 여성의 유형화
5. 여성 기록을 넘어
제3장 견고한 원전과 그 계보들-동아시아 여성 쓰기의 역사 / 최진아
1. 여성ㆍ동양ㆍ타자
2. 견고한 원전: 유향의『열녀전』
3. 원전의 계보들(I): 정사의 여성 열전
4. 원전의 계보들(II): 여성의 목소리로 말한『열녀전』
5. 원전의 계보들(III):『열녀전』의 모방작
6. 원전의 계보들(IV): 조선의 열녀(?D)
7. 우리 시대의 신『열녀전』
제4장 신화 속의 처녀에서 역사 속의 어머니로 / 송정화
1. 맹모, 현실인가? 환상인가?
2. 신화 속의 여성, 처녀
3. 처녀에서 어머니로
4.「모의전」의 여성, 어머니
5. 모성의 새로운 정의를 위하여
제5장 그녀는 추하기 짝이 없었다 그리고 왕비가 되었다 / 김영미
트랙1. 못생긴 외모
트랙2. 파편화된 여성/혼재, 혼합
트랙3. 부재하는 여성성/단절
제6장 요조숙녀, 군자의 이름으로 부르는 여인 / 김종미
1. ‘몸’은 여전히 유효한가?
2. 군자의 이름으로 호명하기
3. 요조숙녀의 몸가짐
4. 군자의 환상, 여인의 응답
제7장 여자ㆍ여우ㆍ귀신-도산씨 설화로부터 / 김지선
1. “그대를 기다리지요(??
?)”
2. 도산씨 설화, 변형되어 가는 원형
3. 여자ㆍ여우ㆍ귀신
4. 은밀한 고백과 권력, 그리고 서사 담론
5. 에로스의 복원을 기다리며
제8장 고대 여인의 죽음과 그 그림자-기량의 아내 이야기를 중심으로 / 조숙자
1. 죽음에 이르기까지
2. 한낱 죽음에서 칭송으로
3. 죽음에 대한 의문: 자살과 타살의 경계
4. 죽음에 대한 칭송 그 후
5. 감추어진 죽음의 그림자
제9장 칼을 차고 장부의 마음을 품다-동아시아의 악녀 / 송진영
1. 왜 악녀인가?
2.「얼폐전」의 이데올로기적 배경
3. 금기에 도전한 여인들
4. 악녀들의 시대
5. 그녀를 위한 변명
제10장 효녀 서사, 폭력과 성스러움 사이에서 / 정재서
1. 동아시아 문화 담론과 성별
2. 폭력과 효의 성립
3. 제영 설화
4. 제영 그 이후
5. 계보학을 넘어서"